Author: Site Editor Publish Time: 2025-07-01 Origin: Site
중국 실리콘철 합금 산업은 최근 녹색 생산 전략과 기술 혁신을 통해 국내 수요 확대와 해외 시장 점유율 증가를 목표로 집중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이는 정부 정책 지원과 산업 구조 조정을 바탕으로 한 전략적 움직임으로, 2025년 이후 글로벌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강화할 전망이다.
녹색 생산 정책의 확대
중국 정부는 실리콘철 합금 산업을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의 핵심 분야로 지정하고 있다. 특히 닝샤후이족자치구는 2025년 5월 발표한「자치구 합금철 산업 고품질 발전 추진 계획」에서 2027년까지 실리콘철 생산에 사용되는 재생 에너지 비율을 60%로 늘리는 목표를 세웠다9. 이를 위해 고에너지 소비 기업 명단에서 녹색 전력 사용률이 40% 이상(그 중 녹색 인증 15% 이상)인 기업은 전기 요금 부담을 경감받을 수 있다. 또한 신규 대규모 실리콘철 공장에는 토지, 전력, 물 등 자원을 우선 배정하는 정책이 실시된다.
이러한 정책은 실리콘철 산업의 환경 부하를 줄이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감수성 지방 정부의 대표적인 사례로, 장예시의 간쑤 텅다시철 신재료 유한회사는 6×33,000KVA 규모의 실리콘철 합금 광로를 건설하며, 여기에 2×20t/h 여열 보일러와 30MW 발전기 등 여열 발전 시스템을 설치해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8. 이렇게 환경 친화적 기술을 도입한 기업들은 국내 시장뿐 아니라 EU의 탄소 경계 조정 메커니즘(CBAM)에도 적극 대응할 수 있다.
생산 증가와 시장 동향
2025년 상반기 중국 실리콘철 합금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18.02% 증가한 50.27만 톤을 기록했다10. 특히 산업 정책의 효과로 중소 규모의 낮은 효율 생산 설비가 단계적으로 폐지되면서, 대규모 고효율 생산 라인이 주도권을 차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네이멍구의 특정 기업은 자체 개발한 광로 연소 시스템을 통해 단위 생산 당 탄소 배출량을 15% 감소시켰다12.
하지만 수급 불균형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2025년 3월 실리콘철 합금 재고량은 9.49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45% 증가했으며, 이는 해외 시장의 수요 증가가 예상보다 느려졌기 때문이다10. 특히 한국 시장에서 중국산 실리콘철 합금의 가격 경쟁력이 강해져, 국내 제강사들의 수입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한국 시장에서 중국산 실리콘철의 가격은 동종 제품 대비 10-15% 저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기술 혁신과 신시장 진출
중국 실리콘철 합금 산업은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예를 들어 고순도 실리콘철(탄소 함량 ≤0.05%)의 생산 비중은 2020년 24%에서 2023년 42%로 크게 증가했으며, 이는 신재생 에너지와 전기차 산업의 수요 확대에 기인한다12. 특히 태양광 패널과 전기차 배터리 소재로 사용되는 고순도 실리콘철은 수출 증가의 핵심 제품으로 자리잡았다.
해외 시장에서는 일본과 한국이 주요 수입국으로, 2023년 두 국가의 수입량은 전체 수출량의 58%를 차지했다12. 반면에 유럽 시장은 CBAM 정책으로 인해 수입 구조가 변화하고 있다. 독일과 이탈리아 등 전통적인 수입국 대신 폴란드와 터키 등 신흥 시장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중국 기업들은 EU의 탄소 표준을 준수하는 제품 개발에 더욱 집중하고 있다.
산업 전문가의 전망
업계 전문 분석가들은 중국 실리콘철 합금 산업의 미래를 '기회와 도전이 공존하는 시기'로 평가한다. 한편으로는 전기차와 태양광 발전 산업의 성장으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국내 재고 증가와 해외 시장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가격 하락 압력이 지속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11.
특히 2025년 이후 신규 생산 설비의 추가가 예상되면서, 전체 시장의 수급 불균형이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비해 정부는 기술 혁신과 산업 집중화를 통해 효율성을 높이고, 국내 시장의 안정적인 수요 확보를 강조하고 있다.
중국 실리콘철 합금 산업은 정책 지원과 기술 혁신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녹색 생산과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이 성공적으로 진행된다면, 2025년 이후 세계 시장에서 더욱 큰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전망된다.